ISA계좌란? 장점 단점 및 세금혜택에 대해 알아보자

반응형

지금 시대는 ISA를 모르고 투자하는 것은 큰 손해이다. 세금혜택이 많기 때문이다.
필자도 ISA계좌를 개설 후 절세 혜택을 많이 누리고 있다. 심지어 와이프것도 만들어서 두개를 운용중이다.
모르면 손해보는 ISA의 장점 단점 혜택 해지 추천하는 이유 꿀팁 등에 대해 알아보자.

 

목차

 

1. ISA계좌란?

2. ISA계좌의 종류와 가입 조건

3. ISA계좌의 혜택 장점 및 단점,한도

4. ISA 계좌의 활용(꿀팁)

추천글

위의 목차를 클릭하면 해당 글로 자동 이동 합니다.

ISA계좌

ISA계좌란?

ISA 계좌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ndividual Savings Account)의 약자로,
 
한국에서 개인이 투자와 저축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는 금융 서비스이다. 
 
다양한 금융 상품에 분산 투자하며 절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세후 수익률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저축, 펀드, 보험 등 다양한 금융 상품을 하나의 계좌에서 관리할 수 있어 편리하지만
 
한도가 정해져 있으며, 투자 기간이나 조건에 따라 세제 혜택의 내용이 달라질 수 있다.
 
정리하자면
 
ISA 계좌는
 

  • ISA( Individual Savings Account) :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 주식 / 채권 / ETF / 펀드 / 예금 등의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가능한 절세 계좌
  • 신탁형 / 일임형 / 중개형으로 나뉨
  • 은행 또는 증권사에서 가입가능하며 1인 1계좌만 개설가능

 
즉, 개인이 다양한 금융상품에 투자하면서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계좌이다.
 
해외에서도 미국의 IRA 또는 401K , 일본의 NISA 등 국민 재산형성을 도와주기 위한 절세 계좌가 존재한다.

ISA계좌의 종류 및 가입 조건

ISA 계좌의 종류는 총 세가지로 나뉜다.

 

  1. 신탁형 ISA
  • 투자자가 금융사에 운용을 지시
  • 모바일 비대면 계좌 개설 불가 및 신탁보수 연 약 0.2%

2. 일임형

  • 금융사가 직접 운용
  • 모바일 비대녀 계좌 개설 불가 및 일임 수수료 연 약 0.1%

3.중개형

  • 투자자가 직접 다양한 금융상품을 관리
  • 일반형의 경우 모바일 비대면 계좌 개설 가능
  • 가장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ISA

 

중개형은 전체 500만명의 가입인원중에 약 400만명 이상이 투자중개형 ISA를 가입해서 운용중에 있다.

 

다만 증권사에서만 가입이 가능하다.

 

ISA 계좌의 가입 조건은 다음과 같다.

 
1. ISA계좌의 가입 자격은 가입 일시 기준 19세 이상 거주자이다.(단, 근로소득이 있는 경우 15세 이상)
 
2. 가입 금액은 연간 4천만원 기간은 최대 5년 ( 2000만원 X 5년 = 최대 1억원 ) 이며
당해년도 미불입 납입한도는 다음해로 이월 가능하다.
예를들어 2023년에 1000만원밖에 납입하지 못했다면, 다음해에 남은 1000만+2000만으로 3천만원 납입이 가능하다.
 
3. 근로형태 및 소득요건에 따라 가입대상 유형이 상이하다.
 
1) 일반형

  • 누구나 가능
  • 비과세한도 200만원(초과 시 9.9% 저율 분리 과세 적용 )

 

  • 2) 서민형
  • 소득 5천만원 이하 근로자 또는 종합소득 3800만원이하 사업자
  • 비과세한도 400만원(초과 시 9.9% 저율 분리 과세 적용 )

 

  • 3) 농어민
  • 총급여 3800만원 이하 농어업인
  • 비과세한도 400만원 (초과 시 9.9% 저율 분리 과세 적용 )
  •  

대다수의 직장인들은 서민형과 일반형을 채택한다.

연봉이 낮은 기업에 재직중인 근로자는 서민형을,

조금 연봉이 높은 대기업 공기업에 재직중인 근로자는 일반형을 택할 것이다.

30세 중위소득이 4000만원대인 것을 생각해보면

서민형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근로자가 좀 더 많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ISA계좌의 혜택 장점과 단점,한도

 
ISA계좌의 장점은 "절세"이다.
 

  1. 가입유형에 따라 200~400만원 비과세 초과시 일반 계좌 15.4% 대비 저렴한 9.9% 분리과세

 
2. "순손익"에 대한 세금만 납부
 
예를 들면 A주식에서 1000만원 이익을 보고, B주식에서 300만원 손해를 봤다고 가정하자.
 

  • 일반계좌 : 1000만원에 대해 과세함 -> 1000만 * 15.4% = 154만원 세금 납부
  • ISA계좌 : 순손익 1000-300만원=700만원에 대해 과세하며 200만원은 비과세 -> 500만*9.9% = 49만5천원

 
즉 내야하는 세금이 100만원이상이 차이가 나게된다.
 
3. IRP,연금저축펀드같은 다른 절세계좌에 비하여 중도인출이 자유롭다.(다만,받은 비과세혜택은 도로 뱉어내야한다)
 
 ISA계좌의 혜택은 이처럼 다양하다.

하지만 ISA계좌의 단점은 장점에 비해 한없이 초라하다.
 
1. 최소 3년 최대 5년까지 돈이 묶일 수 있으며 중도인출을 할 수는 있으나 비과세혜택을 도로 뱉어내야한다.
 
2. 개별주식 투자시 국내주식만 가능하고 해외주식은 불가능하다.
다만 국내상장된 해외주식ETF는 가능하다
 
3. 자본금이 클 때 납입한도가 조금 아쉬울 수 있다.(현재 연 2000만원)

하지만 만약 올해 넣어야 할 납입한도를 못 채웠다면

금액은 이월된다.

예를들어 올해 1000만원밖에 못넣었다면

내년엔 3000만원 납입이 가능하다.

ISA계좌의 활용(꿀팁)

ISA 계좌는 아주 큰 장점들과 그에 비해 초라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렇게 좋은 ISA 계좌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ISA 계좌에서 국내 주식,국내 ETF의 투자 매력은 상대적으로 적다.

출처 입력

 

국내 주식이나 국내 ETF는 해외 주식이나 해외 ETF와 달리 매매에 따른 양도 소득세가 없다.

 

또한 일반 계좌에서도 투자 소득 최대 5000만원까지 비과세이다.

 

ISA는 단기투자보단 최소 5년의 장기투자에 유리하다. 따라서 단일주식보단 ETF투자를 하는 사람이 많다.

 

국내주식이나 ETF가 안좋다는 말이 아니라, 해외 ETF를 살 때 ISA 계좌의 장점이 극대화된다.

 

즉, 국내 상장 해외 ETF들을 노려보는게 좋다.

 

  • 미국 지수 대표 ETF인 S&P 500
  • 그 외 해외 지수 대표 ETF(인도의 Nifty50 등)
  • QQQ(나스닥에 상장된 종목 중 금융주를 제외한 100종목 추종)
  • 배당과 성장을 노린다면 SCHD ETF
  • 국제 정세에 따른 다양한 ETF들 ( 금,구리,석유,식품 등등)

 

ISA 계좌에서 자신의 투자성향에 따라 다양한 ETF들을 배분하여 투자해보자.

 

마치며

2024년 ISA의 혜택 확대 이야기가 계속해서 들리고 있다.
 
지금도 그렇지만 앞으로는 더욱 더 ISA계좌의 중요성이 커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혹시 ISA계좌가 없다면 지금 당장 모바일 비대면으로라도 계좌를 개설하고
 
단돈 만원이라도 넣어서 뭔가에 투자해보자.
 
시작이 반이다.

참고로 필자는 와이프와 내꺼 따로따로 ISA계좌를 운용중이다.

납입한도때문인데, 그만큼이나 ISA계좌가 매력적인 혜택을 갖고 있다는 말이 된다.
 

추천글

 

 

ETF 사이트 추천 ETF 정보 찾기, ETF 구성종목,지분,운용보수 확인 (Feat.AIQ,GRID)

ETF(Exchanged Traded Fund) 시장은 최근 몇 년간 급격한 성장을 경험하고 있다. 이는 투자자들이 보다 다양한 자산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인데, 단일 주식과는 다르게 ETF는 구성종목, 운용보수

cocolong.co.kr

 

 

연금계좌 ( IRP,연금저축계좌 ) 종목 및 수익률 현황

내 노후준비를 위한 계좌 IRP와 연금저축계좌에 들어가 있는 종목과 수익률을 공유하고자 한다. IRP와 연금저축계좌가 무엇인지는 추후 정리해서 포스팅하겠다. IRP ( 퇴직연금계좌 ) IRP는 기본적

cocolong.co.kr

 

반응형